1938년 황허 홍수

최근 수정 시각:
13
편집
IP 우회 수단(프록시 서버, VPN, Tor 등)이나 IDC 대역 IP로 접속하셨습니다. (#'30172495')
(VPN이나 iCloud의 비공개 릴레이를 사용 중인 경우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잘못된 IDC 대역 차단이라고 생각하시는 경우 게시판에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토론역사
[ 펼치기 · 접기 ]
연표
사건
※ 매년 전황·추세 등 상세한 내용은 연표 해당 연도 참고
 
 
 
 
 
 
 
 
 
 
 
 
 
 
 
 
 
 
 
 
 
 
 
 
 
1. 개요2. 전개
2.1. 배경2.2. 수공2.3. 피해
3. 이후4. 기타
 
 
 
 
 
 
 
 
 
 
 
 
 
 
 
 
 
 
 
 
 
 
 
 
 
 
 
 
 
 
 
 
 
 
 
 
 
 
 
 

1. 개요[편집]

 
 
 
 
 
 
 
 
 
 
 
 
 
 
 
 
 
 
 
 
 
 
 
 
 
 
 
 
 
 
 
 
 
 
 
 
 
 
 
 
1938년 황허 홍수는 1938년 6월 9일부터 황허 중하류에 발생한 대규모 홍수이다. 중일전쟁 중 일본의 진격을 막기 위해 국민정부가 일으켰다.
 
 
 
 
 
 
 
 
 
 
 
 
 
 
 
 
 
 
 
 
 
 
 
 
 
 
 
 
 
 
 
 
 
 
 
 
 
 
 
 

2. 전개[편집]

 
 
 
 
 
 
 
 
 
 
 
 
 
 
 
 
 
 
 
 
 
 
 
 
 
 
 
 
 
 
 
 
 
 
 
 
 
 
 
 
 
 
 
 
 
 
 
 
 
 
 
 
 
 
 
 
 
 
 
 
 
 
 
 
 
 
 
 
 
 
 
 
 
 
 
 
 
 
 
 
중일전쟁 당시 중국은 후퇴를 거듭, 일본은 1938년 초 안양을 시작으로 허난 일대를 공격하기 시작한다. 6월 카이펑이 위기에 처해 중국은 란펑현[1]에서 마지막 방어전을 치르지만 패배, 6일 카이펑은 일본에 의해 점령된다.

어떻게든 일본의 다음 목표인 정저우를 지켜야 했던 장제스황허 제방을 무너뜨리기로 결정한다.
 
 
 
 
 
 
 
 
 
 
 
 
 
 
 
 
 
 
 
 
 
 
 
 
 
 
 
 
 
 
 
 
 
 
 
 
 
 
 
 
 
 
 
 
 
 
 
 
 
 
 
 
 
 
 
 
 
 
 
 
 
 
 
 
 
 
 
 
 
 
 
 
 
 
 
 
 
 
 
 
1938년 6월 7일 국민혁명군 제53군 1단은 화완구(花園口) 제방을 부수기 시작, 이틀 후 무너뜨린다. 천정천[2]이었던 황허가 인근으로 넘쳐 진격하던 일본 육군 제14, 16사단은 큰 피해를 입고, 중국은 정저우를 지킨다.

원래 계획은 인근의 다른 하천으로 물이 빠지는 것이었으나 10일 상류의 폭우, 제방 붕괴 확대로 화북 평야에 감당할 수 없는 양의 물이 쏟아지기 시작한다.
 
 
 
 
 
 
 
 
 
 
 
 
 
 
 
 
 
 
 
 
 
 
 
 
 
 
 
 
 
 
 
 
 
 
 
 
 
 
 
 
 
 
 
 
 
 
 
 
 
 
 
 
 
 
 
 
 
 
 
 
 
 
 
 
 
 
 
 
 
 
 
 
 
 
 
 
 
 
 
 
피해지역은 걷잡을 수 없이 안후이, 장쑤성 일대까지 확대, 당시 이렇게 피해가 커질 줄 몰랐고 침수 지역이 온통 전쟁터라 대비가 어려웠던 정부는 화완구 인근에만 홍수경보와 대피령을 발령했지만, 결국 89만명이 사망하고, 1,250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이 일로 300만명이 아사했다.
 
 
 
 
 
 
 
 
 
 
 
 
 
 
 
 
 
 
 
 
 
 
 
 
 
 
 
 
 
 
 
 
 
 
 
 
 
 
 
 

3. 이후[편집]

 
 
 
 
 
 
 
 
 
 
 
 
 
 
 
 
 
 
 
 
 
 
 
 
 
 
 
 
 
 
 
 
 
 
 
 
 
 
 
 
  • 이 사건을 계기로 황허는 다시 남쪽으로 흘러 회하, 장강과 합류, 1947년 제방 복구로 다시 돌아온다.
  • 전략적 결정이었지만 큰 피해가 발생해 예전 협력관계였던 나치 독일은 이를 엄청나게 비난[3], 양국 관계가 나빠져 중국은 독일 대신 소련을 파트너로 삼는다.
  • 허난은 전쟁통에 제대로 복구가 되지 않았고, 4년 후에는 허난 대기근까지 맞는다.
 
 
 
 
 
 
 
 
 
 
 
 
 
 
 
 
 
 
 
 
 
 
 
 
 
 
 
 
 
 
 
 
 
 
 
 
 
 
 
 

4. 기타[편집]

 
 
 
 
 
 
 
 
 
 
 
 
 
 
 
 
 
 
 
 
 
 
 
 
 
 
 
 
 
 
 
 
 
 
 
 
 
 
 
 
  • Hearts of Iron IV에서 중국 군벌들이 디시전으로 일으킬 수 있는 이벤트다. 발동 시 보급 및 진격 속도가 절망적으로 느려지고 지속시간은 2년.
 
 
 
 
 
 
 
 
 
 
 
 
 
 
 
 
 
 
 
 
 
 
 
 
 
 
 
 
 
 
 
 
 
 
 
 
 
 
 
 
[1]란카오[2] 강바닥이 뭍보다 높은 하천.[3] 나치가 인도적이라 그런 건 아니고 히틀러가 소련 견제를 위한 파트너로 일본에 관심을 뒀던지라 유화적 제스처를 보이고자 대중 무기 수출 불허와 군수고문단 철수 등의 조치를 취해 이미 사이가 나빠지고 있었으니 건수를 찾은 것에 가까웠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