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토 블루제이스

최근 수정 시각:
72
편집
IP 우회 수단(프록시 서버, VPN, Tor 등)이나 IDC 대역 IP로 접속하셨습니다. (#'30172495')
(VPN이나 iCloud의 비공개 릴레이를 사용 중인 경우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잘못된 IDC 대역 차단이라고 생각하시는 경우 게시판에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토론역사
 
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   2025년 시즌 현황에 대한 내용은 토론토 블루제이스/2025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
토론토 블루제이스
Toronto Blue Jays
창단
1977년 (48주년)
연고지
구단명 변천
토론토 블루제이스 (Toronto Blue Jays, 1977~)
소속 변천
아메리칸 리그 (1977~)
- 동부 지구 (1977~)
홈 구장
엑시비션 스타디움 (Exhibition Stadium, 1977~1989)[1]
로저스 센터 (Rogers Centre, 1989~)[2]
구단주
캐나다 국기
로저스 커뮤니케이션스 (Rogers Communications)
사장
미국 국기
마크 샤파이로 (Mark Shapiro)
부사장
단장
미국 국기
로스 앳킨스 (Ross Atkins)
감독
미국 국기
존 슈나이더 (John Schneider)
역대 한국인 선수
대한민국 국기
오승환 (2018)
대한민국 국기
류현진 (2020~2023)
로컬 경기 중계
캐나다 국기
Sportsnet (영어)[4]
캐나다 국기
TVA Sports (프랑스어)[5]
공식 링크
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 | 페이스북 아이콘 | X Corp 아이콘(블랙) | 인스타그램 아이콘 | 유튜브 아이콘
약칭
TOR
월드 시리즈 우승 (2회)
아메리칸 리그 우승 (2회)
지구 우승 (6회)
1985, 1989, 1991, 1992, 1993, 2015
와일드 카드 (4회)
2016, 2020, 2022, 2023
포스트시즌 진출
팀 컬러 / 유니폼
[ 펼치기 / 접기 ]
팀 컬러
로열블루 네이비블루 빨강색 흰색
유니폼
TOR Cap1 2012
TOR Cap2 2015
TOR Cap3 2017
Cap 1
Cap 2
Cap 3
TOR Home 2012
TOR Away 2012
TOR Alternate 20...
Home
Away
Alternate
[ 펼치기 / 접기 ]
프랜차이즈 팀 기록
최고 승률
.615 - (1985년 161경기 99승 62패)
최다 승
99승 - (1985년 161경기 99승 62패)
최다 패
109패 - (1979년 162경기 53승 109패)
최다 연승
11연승[6]
최다연패
11연패[7]
최다 관중
4,057,947명 - 1993년
최고 계약
 
1. 개요2. 역사
2.1. 역대 팀 엠블럼
3. 특징4. 유니폼5. 홈 구장6. 영구 결번
6.1. Level of Excellence
7. 주요 출신 선수8. 역대 감독9. 계약 중인 마이너리그 구단
9.1. 트리플 A9.2. 더블 A9.3. 싱글 A
9.3.1. 하이 싱글 A9.3.2. 로우 싱글 A
9.4. 루키
10. 1라운드 지명선수11. 유망주 순위12. 40인 로스터 목록13. 관련 링크1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MLB 아메리칸 리그/동부 지구 소속 프로 야구단. 연고지는 캐나다 토론토.

1977년 창단하며 몬트리올 엑스포스에 이어 두 번째로 캐나다를 연고지로 만들어진 메이저 리그 구단으로, 2005년 엑스포스가 워싱턴으로 떠난 이후로는 캐나다의 유일한 메이저 리그 구단이 되었다.[8][9] 그래서인지 캐나다 야구 국가대표팀보다 인기가 많으며 사실상 캐나다 야구 대표팀은 블루제이스라고 할 수 있을 정도다

1985년부터 1993년까지 5번의 포스트시즌 진출, 1992-1993년 2년 연속 월드 시리즈 우승을 달성하면서 전성기를 맞았다.[10] 하지만 이후로는 동부지구의 강팀과 약팀들 사이 어정쩡한 중간 위치에 머물러 있다.[11] 변방의 외국 이미지와 높은 세금, 홈구장의 인조 잔디 등 핸디캡이 붙어 FA 선수들이 토론토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기는 하나[12] 토론토는 시내 인구도 300만이 넘어가고[13] 광역권 인구는 시카고와 맞먹는 900만이 넘어가는 대도시이기에 스몰마켓은 절대 아니다. 오히려 최상위권에 속하는 빅마켓.

2020년 류현진을 4년 8000만 달러에 데려오는데 성공해 한국에서도 팬이 많이 늘었다.

대니 에인지가 NBA 데뷔하기 전까지 약 2년간 뛰었던 야구 팀이 바로 이 팀이다.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토론토 블루제이스/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 역대 팀 엠블럼[편집]

 
역대 팀 로고
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19...
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19...
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20...
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20...
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20...
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
1977~1996
1997~2002
2003
2004~2011
2012~2019
2020~현재
팀 로고에 있는 새는 북미 지역에 서식하는 파랑어치(Blue jay)이다[14]. 다만 캐나다에서만 볼 수 있는 새는 아닌데, 굳이 파랑어치를 팀 명칭으로 사용한 데에는 다음과 같은 루머가 있다. 원래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를 인수해 연고이전 하려 했으나 실패로 돌아간 후, 메이저리그 사무국에게 강력하게 요청해 토론토를 연고로 하는 야구팀을 만든 기업은 캐나다의 유명 맥주 브랜드 회사인 래뱃 양조 회사(Labatt Brewing Company)였다. 그런데 이 회사의 주력 상품이 바로 "Blue"라는 이름을 가진 맥주인데, 이 맥주의 컬러링을 보면 현재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컬러(파랑+빨강)와 동일하다.
Blue Jay
canada beer blue...
파랑어치(Blue Jay)
Blue 맥주
그래서 그룹 홍보용 컬러와 Blue라는 이름을 쓸 수 있으며, 북미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새인 파랑어치를 팀 명칭과 마스코트로 삼았다는 것이 이 카더라의 주요 내용이다. 이후 캐나다 최대 통신기업인 로저스 커뮤니케이션(Rogers Communication Inc.)[15][16], 이 래뱃 양조 회사로부터 구단을 인수하고, 2005년부터는 로저스 센터명명권과 운영권을 사들이면서 Blue 광고판은 로저스 센터에서 퇴출되었다. 그나마 팀 명칭과 팀 컬러는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 다행이다.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토론토 블루제이스/이모저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토론토 블루제이스/유니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로저스 센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영구 결번[편집]

 
[ 펼치기 · 접기 ]
No.32
No.42
No.4306
톰 치크🎙️

32. 로이 할러데이 (Roy Halladay) : 2000년대를 빛낸 최고의 투수 중 한 명이자 이 시대 최후의 완투형 에이스. 그러나 안타깝게도 2017년 자가용 경비행기 추락 사고로 인해 요절하고 말았고, 사후 2018년 영구 결번을 헌정 받았다.

42. 재키 로빈슨 (Jackie Robinson) : 전 구단 영구결번.

4306. 톰 치크 (Tom Cheek) : 4306경기를 연속으로 중계한 해설가로 토론토의 빈 스컬리로 불린다.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전성기를 대표하는 명 2루수[17]였던 로베르토 알로마(12번)의 경우 2021년 4월 30일, 2014년에 있었던 성추문으로 인해 사무국으로부터 자격 정지를 받자 블루제이스 측은 로저스 센터의 센터 필드에 걸려있는 그의 영구결번 배너를 내리기로 결정하고 그와 관련된 유니폼과 기념품 등도 모두 폐기하였다. 이후 2023시즌 중반까지는 결번으로 존재하다, 트레이드로 영입한 조던 힉스에게 등번호 12번을 부여하고 공식 홈페이지 영구결번 리스트에서 알로마의 이름을 삭제하며 공식적으로 영구결번이 취소되었다.

메이저리그의 다른 팀들 보다 은근 영구결번에 대해 깐깐한 편이며 명예의 전당 입성이 영구결번의 조건 중 하나인 것으로 추측하는 사람들이 많다. 다만 호세 바티스타가 팀을 떠난 후 그의 번호였던 19번을 비워두고 있는 것을 보면 앞으로 달라질 수도 있을 듯하다.[18]

공식 결번은 아니었지만, 캐나다 소재 팀인 만큼 캐나다의 국민영웅 웨인 그레츠키의 상징 99번이 한동안 비워져 있었다. 하지만 류현진이 블루제이스에 입단하면서 블루제이스 역사상 첫 99번 등번호를 단 선수가 되었다. 그리고 류현진이 친정팀 한화로 돌아가면서 99번은 다시 결번으로 남게 되었다.
 

6.1. Level of Excellence[편집]

 
블루제이스 구단에 기여한 공이 큰 인물들의 이름을 홈구장인 로저스 센터 500레벨 좌석 벽면에 새기는 것으로, 1996년 제정되었다. 타 구단의 자체 명예의 전당과 비슷한 지위를 가진다.

선수 뿐만 아니라 블루제이스 구단에 기여한 공이 큰 인물들이 폭넓게 등재된다. 로저스 센터 내부에 기념 공간 또한 별도로 존재하며, 미국 플로리다에 위치한 트레이닝 시설에도 여기에 등재된 선수들을 기념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7. 주요 출신 선수[편집]

 
이름
국적
포지션
활약 시즌
fWAR
bWAR
HoF
수상 경력[19]
투수
12시즌
48.6
48.0
O
2003 Cy Young, AS x6, 다승왕 x1
투수
15시즌
43.6
56.8
X
AS x7, ERA title x1
외야수
10시즌
36.1
38.2
X
AS x6, SS x3, 홈런왕 x2
유격수
12시즌
35.1
37.5
X
AS x4, GG x4
1루수
12시즌
34.7
36.8
X
AS x2, SS x3, 타점왕 x1
제시 바필드
우익수
9시즌
29.6
29.5
X
AS x1, SS x1, GG x2, 홈런왕 x1
투수
9시즌
28.1
29.6
X
AS x2, ERA title x1
짐 클랜시
투수
12시즌
28.0
24.7
X
AS x1
중견수
12시즌
24.8
28.7
X
AS x3, SS x1, GG x3
로이드 모스비
중견수
12시즌
24.6
26.0
X
AS x1, SS x1
지명타자
8시즌
23.6
25.2
X
AS x3, 타점왕 x1
1루수
9시즌
23.1
22.6
X
AS x1
후안 구스만
투수
8시즌
22.6
21.0
X
AS x1
3루수
4시즌
22.2
19.2
X
2015 MVP, AS x2, SS x2, 타점왕 x1
어니 휘트[21]
포수
12시즌
21.8
19.3
X
AS x1
중견수
5시즌
20.9
22.3
X
AS x1, GG x5
2루수
5시즌
20.4
22.3
O
AS x5, SS x1, GG x5
좌익수
9시즌
20.2
21.3
X
1987 MVP, AS x2, SS x3, 타점왕 x1
투수
10시즌
19.7
26.5
X
1996 Cy Young, AS x3
투수
2시즌
18.9
20.3
X
1997·1998 Cy Young & Triple Crown, AS x2
굵은 글씨는 현역선수. ★표는 영구결번자.
 

8. 역대 감독[편집]

 
[ 펼치기 · 접기 ]
1대
로이 하츠필드
미국 국기
(1977~1979)
2대
바비 매틱
미국 국기
(1980~1981)
3대
바비 콕스
미국 국기
(1982~1985)
4대
지미 윌리엄스
미국 국기
(1986~1989)
5대
시토 개스턴
미국 국기
(1989~1991)
6대
진 테니스
미국 국기
(1991)
5대
시토 개스턴
미국 국기

(1991~1997)
7대
멜 퀸
미국 국기
(1997)
8대
팀 존슨
미국 국기
(1998)
9대
짐 프레고시
미국 국기
(1999~2000)
10대
벅 마르티네즈
미국 국기
(2001~2002)
11대
카를로스 토스카
쿠바 국기
(2002~2004)
12대
존 기븐스
미국 국기
(2004~2008)
5대
시토 개스턴
미국 국기
(2008~2010)
13대
존 패럴
미국 국기
(2011~2012)
12대
존 기븐스
미국 국기
(2013~2018)
14대
찰리 몬토요
푸에르토리코 기
(2019~2022)
15대
존 슈나이더
미국 국기
(2022~)
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
: 월드 시리즈 우승
 

9. 계약 중인 마이너리그 구단[편집]

 

9.1. 트리플 A[편집]

 
버팔로 바이슨스 엠블럼
버팔로 바이슨스
Buffalo Bisons
창단
1979년
계약년도
2013년
소속리그/지구
인터내셔널 리그 동부지구
연고지
홈 구장
세일런 필드 (Sahlen Field)

2020시즌 코로나19의 여파로 캐나다 정부가 로저스 센터 사용 불가 결정을 내리자, 토론토는 대체홈구장으로 이 팀의 구장인 세일런 필드를 선택했다. 따라서 2020년에는 이곳에서 MLB도 개최된다.
 

9.2. 더블 A[편집]

 
뉴햄프셔 피셔캣츠 엠블럼
뉴햄프셔 피셔캣츠
New Hampshire Fisher Cats
창단
1994년
계약년도
2003년
소속리그/지구
이스턴 리그 동부지구
연고지
홈 구장
노스이스트 델타 덴탈 스타디움
 

9.3. 싱글 A[편집]

 

9.3.1. 하이 싱글 A[편집]

 
밴쿠버 커네이디언스 엠블럼
밴쿠버 커네이디언스
Vancouver Canadians
창단
2000년
계약년도
2011년
소속리그/지구
노스웨스트 리그 북부지구
연고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밴쿠버
홈 구장
냇 베일리 스타디움
 

9.3.2. 로우 싱글 A[편집]

 
더니든 블루제이스 엠블럼
더니든 블루제이스
Dunedin Blue Jays
창단
1987년
계약년도
1987년
소속리그/지구
플로리다 스테이트 리그 북부지구
연고지
플로리다 주 더니든
홈 구장
[ 펼치기 · 접기 ]
1대
밥 베일러
미국 국기
(1987)
2대
더그 올트
미국 국기
(1988~1989)
3대
데니스 홈버그
미국 국기
(1990~1993)
4대
짐 네틀즈
미국 국기
(1994~1995)
5대
데니스 홈버그
미국 국기
(1996~1997)
6대
어니 위트
미국 국기
(1997)
7대
로켓 휠러
미국 국기
(1998~1999)
8대
마티 피비
미국 국기
(2000~2002)
9대
마이크 바소
미국 국기
(2003)
10대
오마 말라브
베네수엘라 국기
(2004~2009)
11대
클레이튼 맥컬러
미국 국기
(2010~2011)
13대
바비 미참
미국 국기
(2013)
14대
오마 말라브
베네수엘라 국기
(2014~2015)
15대
켄 허카비
미국 국기
(2016)
16대
존 슈나이더
미국 국기
(2017)
17대
케이시 칸델리
미국 국기
(2018)
18대
세자르 마틴
도미니카 공화국 국기
(2019)
19대
루이스 허타도
베네수엘라 국기
(2021)
20대
도니 머피
미국 국기
(2022~2023)
21대
호세 마요가
파나마 국기
(2024)
22대
길 킴
미국 국기
(2025~)
 
 
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
FCL 블루제이스
Florida Complex League Blue Jays
창단
1981년
계약년도
1981년
소속리그/지구
플로리다 컴플렉스 리그 북부지구
연고지
홈 구장
바비 매틱 트레이닝 센터 엣 엥글버트 컴플렉스
[ 펼치기 · 접기 ]
GCL 블루제이스 (1981~1985, 1991~1995, 2007~2020)
1대
리치 해커
미국 국기
(1981)
2대
헥터 토레스
멕시코 국기
(1982)
3대
에피 게레로
도미니카 공화국 국기
(1983)
4대
라몬 웹스터
파나마 국기
(1984)
5대
로켓 휠러
미국 국기
(1985)
6대
오마 말라브
베네수엘라 국기
(1991~1992)
7대
헥터 토레스
멕시코 국기
(1993)
8대
더그 올트
미국 국기
(1994)
9대
로켓 휠러
미국 국기
(1995)
11대
데이브 파노
미국 국기
(2008)
12대
존 슈나이더
미국 국기
(2009~2010)
13대
오마 말라브
베네수엘라 국기
(2011~2012)
14대
존 슈나이더
미국 국기
(2012~2013)
15대
케니 그라함
미국 국기
(2014)
16대
세자르 마틴
도미니카 공화국 국기
(2015~2016)
17대
루이스 후타도
베네수엘라 국기
(2017~2018)
18대
데니스 홈버그
미국 국기
(2019)
FCL 블루제이스 (2021~)
19대
브렌트 라발리
캐나다 국기
(2021)
20대
호세 마요가
파나마 국기
(2022~2023)
21대
앤디 페르민
미국 국기
(2024)
22대
존 타마고
미국 국기
(2025~)
 

10. 1라운드 지명선수[편집]

 
[ 펼치기 · 접기 ]
1977년 ~
1977
톰 고페나
유격수 / 전체 25번
1978
로이드 모즈비
1루수 / 전체 2번
1979
제이 슈로더
포수 / 전체 3번
1980
게리 해리스
유격수 / 전체 2번
1981
맷 윌리엄스
투수 / 전체 5번
1981[1]
존 케루티
투수 / 전체 21번
1982
오기 슈미트
유격수 / 전체 2번
1983
맷 스탁
포수 / 전체 9번
1984
FA 데니스 램프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박탈
1985
그렉 데이비드
외야수 / 전체 25번
1986
얼 샌더스
투수 / 전체 26번
1987
알렉스 산체스
투수 / 전체 17번
1988
에드 스프라그 주니어
3루수 / 전체 25번
1989
에디 조스키
유격수 / 전체 19번
1990
스티브 카세이
투수 / 전체 22번
1991[2]
숀 그린
외야수 / 전체 16번
1991[3]
제프 웨어
투수 / 전체 35번
1991[2]
단테 파웰
유격수 / 전체 42번
1991
FA 켄 데이리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박탈
1992[5]
샤논 스튜어트
외야수 / 전체 19번
1992
토드 스티버슨
외야수 / 전체 25번
1992[5]
브랜든 크로머
유격수 / 전체 34번
1993[7]
크리스 카펜터
투수 / 전체 15번
1993[8]
맷 파너
외야수 / 전체 37번
1993[9]
마크 루카시웨츠
투수 / 전체 40번
1993[7]
제레미 리
투수 / 전체 41번
1993
FA 폴 몰리터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박탈
1994
케빈 위트
유격수 / 전체 28번
1995
로이 할러데이
투수 / 전체 17번
1996
빌리 코치
투수 / 전체 4번
1996[11]
조 로렌스
유격수 / 전체 16번
1996[11]
피트 투키
1루수 / 전체 31번
1997
버논 웰스
외야수 / 전체 5번
1998
펠리페 로페즈
유격수 / 전체 8번
1999
알렉스 리오스
3루수 / 전체 19번
2000
미겔 네그론
외야수 / 전체 18번
2000[13]
더스틴 맥고완
투수 / 전체 33번
2001
게이브 그로스
외야수 / 전체 15번
2002
러스 애덤스
유격수 / 전체 14번
2003
애런 힐
유격수 / 전체 13번
2004
데이비드 퍼시
투수 / 전체 16번
2004[14]
잭 잭슨
투수 / 전체 32번
2005
리키 로메로
투수 / 전체 6번
2006
트래비스 스나이더
외야수 / 전체 14번
2007[15]
케빈 아렌스
3루수 / 전체 16번
2007
J.P. 아렌시비아
포수 / 전체 21번
2007[16]
브렛 세실
투수 / 전체 38번
2007[15]
저스틴 잭슨
유격수 / 전체 45번
2007[18]
트리스탄 마그누손
투수 / 전체 56번
2008
데이비드 쿠퍼
1루수 / 전체 17번
2009
채드 젠킨스
투수 / 전체 20번
2009[19]
제임스 팩스턴
투수 / 전체 37번
2010
덱 맥과이어
투수 / 전체 11번
2010[20]
애런 산체스
투수 / 전체 34번
2010[21]
노아 신더가드
투수 / 전체 38번
2010[22]
애셔 워조스키
투수 / 전체 41번
2011
타일러 비디
투수 / 전체 21번
2011[23]
제이콥 앤더슨
외야수 / 전체 35번
2011[24]
조 머스그로브
투수 / 전체 46번
2011[25]
드와이트 스미스 주니어
외야수 / 전체 53번
2011[26]
케빈 코머
투수 / 전체 57번
2012
D.J. 데이비스
외야수 / 전체 17번
2012[27]
마커스 스트로먼
투수 / 전체 22번
2012[28]
맷 스모랄
투수 / 전체 50번
2012[29]
미치 네이
3루수 / 전체 58번
2012[30]
타일러 곤잘레스
투수 / 전체 60번
2013
필 빅포드
투수 / 전체 10번
2014
제프 호프먼
투수 / 전체 9번
2014[31]
맥스 펜테코스트
포수 / 전체 11번
2015
존 해리스
투수 / 전체 29번
2016
T.J. 조이크
투수 / 전체 21번
2017
로건 워모스
유격수 / 전체 22번
2017[32]
네이트 피어슨
투수 / 전체 28번
2018
조던 그로션스
유격수 / 전체 12번
2019
알렉 마노아
투수 / 전체 11번
2020
오스틴 마틴
유격수 / 전체 5번
2021
거너 호글런드
투수 / 전체 19번
2022
브랜든 배리에라
투수 / 전체 23번
2023
아르준 님말라
유격수 / 전체 20번
2024
트레이 예세비지
투수 / 전체 20번
* 취소선 처리된 선수는 블루제이스 구단과 계약하지 않은 선수
[1] FA 로이 하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 2.1 2.2 FA 버드 블랙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 FA 조지 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5] 5.1 5.2 FA 톰 칸디오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7] 7.1 7.2 FA 톰 헨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8] FA 데이비드 콘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9] FA 지미 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1] 11.1 11.2 FA 로베르토 알로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3] FA 그램 로이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4] FA 켈빔 에스코바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5] 15.1 15.2 FA 프랭크 카탈라노토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6] FA 저스틴 스파이어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8] FA 테드 릴리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9] FA A.J. 버넷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0] FA 마르코 스쿠타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1] 제임스 팩스턴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22] FA 로드 바라하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3] FA 스캇 다운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4] FA 존 벅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5] FA 케빈 그렉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6] FA 미겔 올리보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7] 타일러 비디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28] FA 프랭크 프란시스코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9] FA 존 라우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0] FA 호세 몰리나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1] 필 빅포드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32] FA 에드윈 엔카나시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1. 유망주 순위[편집]

 
[ 펼치기 · 접기 ]
1위 (전체 26위)
2위 (전체 41위)
3위 (전체 51위)
4위
5위
트레이 예세비지
(RHP)
조조 파커
(SS)
아르준 니말라
(SS)
리키 티드먼
(LHP)
자니 킹
(LHP)
6위
7위
8위
9위
10위
게이지 스타니퍼
(RHP)
요헨드릭 피난고
(OF)
빅토르 아리아스
(OF)
RJ 슈렉
(O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제이크 쿡
(OF)
조시 카세비치
(SS)
에드워드 듀란
(C)
블레인 벌라드
(O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찰스 맥아두
(3B/OF)
마이크 벅넘
(RHP)
페르난도 페레스
(RHP)
후안 산체스
(3B/SS)
샘 쇼
(O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팀 피아센틴
(3B)
애덤 마코
(LHP)
제러드 스펜서
(LHP)
브랜든 바리에라
(LHP)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실바노 에차바리아
(RHP)
션 키스
(3B)
커터 코피
(3B/2B)
랜던 마로디스
(RHP)
앙헬 바스타도
(RHP)
출처 / 최종 편집일 : 2025년 8월 13일
 

12. 40인 로스터 목록[편집]

 

13. 관련 링크[편집]

 

14. 둘러보기[편집]

 
[1] CFL 토론토 아고노츠와 공용[2] 2015년까지 CFL 토론토 아고노츠, 95년부터 99년까지 NBA 토론토 랩터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열렸던 NFL 토론토 시리즈의 버팔로 빌스와 공용. 2004년까지는 스카이돔(SkyDome)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2020년부터 2021년 7월까지는 코로나19의 전 세계적인 확산으로 인하여 캐나다 정부가 미국과의 국경을 통제함에 따라, 로저스 센터에서 정상적인 경기를 진행할 수 없어 아래의 대체 구장을 사용했다.

세일런 필드 (Sahlen Field, 2020, 2021.06~2021.07)
TD 볼파크 (TD Ballpark, 2021.04~2021.05)
[3] 2025년부터 부사장 직책 수행.[4] 캐나다 유일의 구단답게 캐나다 전역에 송출된다.[5]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퀘벡 주를 중심으로 송출된다.[6] 1987년, 1998년, 2013년, 2015년[7] 1979.07.13 ~ 1979.07.23[8] 그래서 캐나다의 야구팬들은 대부분 블루제이스 팬이며, 블루제이스 한 팀 때문에 올스타전과 같은 메이저 리그의 공식 행사 때는 항상 미국 국가 연주 전에 캐나다 국가인 <O Canada>를 연주한다. [9] 러셀 마틴이 캐나다 홈보이로 블루제이스가 잠깐 반짝했던 2015년~2016년에 뛰었다. 그 외에 조이 보토, 저스틴 모노 등 타팀에서 뛰는 캐내디언 홈보이들이 FA로 풀리면 여지없이 영입설을 띄우기도 한다.[10] 1970년대 이후부터 메이저리그에서 2년 이상 연속 우승을 기록한 팀은 1972년~1974년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975년~1976년 신시내티 레즈, 1977년~1978년 뉴욕 양키스, 1992년~1993년 토론토 블루제이스, 1998년~2000년 뉴욕 양키스밖에 없다.[11] 1998년 탬파베이 레이스가 창단되어 현재의 30개 팀 구조가 정착된 이후 토론토는 10년간 3위를 8번 했으며, 2008년 탬파베이가 급성장한 뒤로는 5년 내내 4위만 했다. 그래도 5위는 안하는게 정말 어정쩡한 모습. 그러다 2015년 지구 우승으로 22년만에 가을 야구에 성공해 지옥의 아메리칸 리그 동부 지구를 더욱 치열한 순위싸움을 만들었다.[12] 트레이드 거부권에 토론토 블루제이스가 포함돼있는 경우도 많다.[13] 300만이면 세인트루이스, 탬파베이 광역권 인구와 맞먹는 것인데 이게 시내인구다. 시내인구로는 북미에서 뉴욕, LA에 이은 3번째다.[14] 미국의 명문대학교인 존스 홉킨스 대학교 역시 운동부 명칭이 블루제이스이다.[15] 참고로 이 당시 회장이었던 테드 로저스는 진성 아이스하키팬이었다. 야구단을 인수한 건 야구가 좋아서가 아니라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중계권 수입과 로저스 센터의 입지를 생각한 막대한 광고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점 때문이었다. 그래서 토론토 블루제이스 팬들은 로저스 커뮤니케이션을 별로 안 좋아한다. 2004년부터 2011년까지 입었던 유니폼에 파란색 비중을 확 줄이고 검은색과 회색의 비율을 늘렸다.[16] 토론토 블루제이스 인수를 시작으로 밴쿠버 커넉스의 홈구장의 명명권과 에드먼턴 오일러스의 홈구장 명명권을 구매했고, 2013년엔 NHL의 12년간 독점 중계권을 따내는 데 성공하며 본격적인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사업에 뛰어들었다. 이 외에 토론토 메이플리프스(NHL), 토론토 랩터스(NBA), 토론토 아고노츠(CFL), 토론토 FC(MLS)등 토론토 연고의 메이저 프로팀의 모기업인 메이플 리프 스포츠 & 엔터테이먼트(Maple Leaf Sports & Entertainment) 지분 37.5%를 소유하고 있다.[17] 사실 토론토에서 뛴 기간은 그의 전체 커리어 중에서 초기 시절인 5년에 불과하다. 그런데 이게 본인 커리어 중 가장 오래 뛴 팀이다. 88년 파드리스에 입단해서 04년 화이트삭스에서 은퇴할 때까지 무려 8개 팀을 옮겨다닌 저니맨이었다. 우승반지도 두 개나 탔으며, 미국과 캐나다의 국경을 커버한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좋은 실력을 보여주며 2루수로서 본격적인 명성을 얻은 시기이기도 하다.[18] 2021 시즌부터 벤치코치인 데이브 허진스가 19번을 다시 사용하기 시작했으나, 선수들은 여전히 바티스타에 대한 존경심으로 인해 이 번호를 사용하길 꺼리고 있다. 이전에 이에 관한 사연을 모르고 스프링 트레이닝에서 19번을 잠시 사용한 선수들인 프레디 갈비스와 알렌 핸슨도 이에 관한 지적을 받자 둘 다 냉큼 바로 다른번호로 바꿔버릴 정도.[19] AS=All Star, SS=Silver Slugger, GG=Gold Glove[20] 12년간 토론토에서 뛰며 활약했다. 토론토 현지에서는 레전드 취급 받는 편. 그러나 안타깝게도 2020년 2월 16일 57세 나이로 사망하였다.[21] 현 캐나다 국가대표팀 감독[22] 로켓의 커리어 내에서도 에 가장 근접한 시기였고, 딱 2년 뛰고 2년 연속 사이 영 상-트리플 크라운이라는 믿기 힘든 성적을 기록했지만, 훗날 미첼 리포트에서 폭로된 내용으로는 이 시기부터 약물에 손을 댔다고 한다.[23]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스프링캠프 홈구장이다. 2021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로저스 센터를 사용할 수 없을 때 임시홈구장으로 사용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