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율대석

최근 수정 시각:
6
편집
IP 우회 수단(프록시 서버, VPN, Tor 등)이나 IDC 대역 IP로 접속하셨습니다. (#'30172495')
(VPN이나 iCloud의 비공개 릴레이를 사용 중인 경우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잘못된 IDC 대역 차단이라고 생각하시는 경우 게시판에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토론역사
요 거란 문자
요 황제
[ 펼치기 · 접기 ]
 
 
 
 
 
 
 
 
 
 
 
 
 
 
 
 
덕종(德宗)
무열황제(武烈皇帝)
천우황제(天祐皇帝)
연경(延慶, 1132년 ~ 1133년)
강국(康國, 1134년 ~ 1143년)
야율(耶律)
대석(大石)
생몰년도
음력
1087년 ~ 1143년
재위 기간
음력
1124년 ~ 1143년(19년)
 
 
 
 
 
 
 
 
 
 
 
 
 
 
 
 
 
 
 
 
 
 
 
 
1. 개요2. 생애3. 기타4. 둘러보기(계보)

 
 
 
 
 
 
 
 
 
 
 
 
 
 
 
 
 
 
 
 
 
 
 
 

1. 개요[편집]

 
 
 
 
 
 
 
 
 
 
 
 
 
 
 
 
 
 
 
 
 
 
 
 
서요(카라 키타이)의 초대 황제이자, 요나라의 제14대 황제. 멸망한 요나라의 황족이자, 요 태조 야율아보기의 8세손이며, 묘호는 덕종, 시호는 무열황제(武烈皇帝), 존호(尊號)는 천우황제(天祐皇帝). 자는 중덕(重德). 서방의 사료에는 구르 칸(Gūr Khān)[1]으로 기록되어 있다.
 
 
 
 
 
 
 
 
 
 
 
 
 
 
 
 
 
 
 
 
 
 
 
 

2. 생애[편집]

 
 
 
 
 
 
 
 
 
 
 
 
 
 
 
 
 
 
 
 
 
 
 
 
야율대석은 요나라 건국자 야율아보기의 8대손으로 1087년에 태어났다. 1115년 28세의 나이로 진사에 급제해 한림 승지라는 고위 문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당시 요나라는 금나라북송의 협공을 받아 국가 존망이 매우 위태로운 상황이었기 때문에 절도사에 임명되어 변경 수비대의 지휘를 맏게 되었다. 1122년에는 천조제가 망명하고 패색이 짙어지자, 소간 등 주요 장수들과 함께 연경(베이징)으로 이동, 북요(北遼) 세력에 가담하였다가 북요가 무너지자 7천명의 군대를 이끌고 내몽골 지역으로 피신한 천조제와 재합류한다. 그해 금나라에 포로로 붙잡혔지만 반년 만에 도망치고, 끝까지 항전을 주장하는 천조제와 헤어진 후 철기(鐵騎) 2백여 명을 이끌고 오르혼 강으로 도주하였다.[2] 여기서 그는 자신들을 따라온 부하들에게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고 전해진다.
우리의 조상들이 만난을 무릅쓰고 나라를 세운 뒤, 아홉 분의 군주가 지나며 200년의 세월이 흘렀다. 신하로 예속되어 있던 여진족이 우리나라를 핍박하여, 백성들을 도륙하고 성읍을 약탈했다. 우리의 천조제께서는 외지로 몽진할 수밖에 없게 되었으나 마음이 아플 따름이다. 이제 우리가 정의의 기치를 내세워 서쪽으로 와서 여러 부족들의 힘을 빌려서 원수를 처단하고 우리의 강역을 회복하고자 한다. 너희들 역시 우리나라를 위해서 가슴 아파하고 우리의 사직을 근심하는 마음으로 임금을 구하려고 함께 노력한다면 백성들을 도탄에서 구해내는 데에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야율대석은 이후 중앙아시아 방면으로 계속 서진하는 와중에 여러 유목민족들을 규합하여 서요를 건국했다. 그러나 승승장구하는 금나라에게 섣불리 도전하기에는 세력이 미약했으므로 우선 비교적 만만한 주변 소국들을 복속시키는 작업에 들어갔다.

1130년, 야율대석은 거란족 특유의 제사방식에 따라 푸른 소와 하얀 말을 잡아 희생제를 거행하고 서쪽의 타림 분지와 천산산맥 일대로 군대를 이끌고 나아갔다.

1132년에 요나라 왕조 재건을 천명하고 황제로 즉위, 연호를 연경(延慶)이라고 하였다. 카라한 칸국을 공격하기에 앞서 길목에 있던 고창회골을 복속시켰다.

1134년에는 동(東)카라한 왕조를 복속시킨 후 카라한 칸국의 수도 발라사군[3]을 서요의 새로운 수도로 삼았다. 발라사군은 이후 호사알로타(虎思斡魯朵)[4]로 이름이 바뀐다. 이어 연호를 강국(康國)으로 고치고 요나라를 부흥을 위해 금나라 정벌을 목표로 7만 기병을 거느리고 금나라로 출정하였으나 금나라는 너무 먼데다(...) 사막에서 폭풍을 만나자 한탄하며 말머리를 되돌렸다.

1137년에는 셀주크 제국의 번국이었던 서(西)카라한 왕조와 맞붙었다.

1141년에는 셀주크 + 서카라한 vs 서요 + 카를루크 + 호라즘 왕조 구도로 이루어진 카트완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이는 중앙아시아의 패권이 셀주크 제국에서 서요로 넘어가는 계기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호라즘 왕조는 서요에 잠시 복속되었다.

1143년에 세상을 떠났으며 야율대석의 사망과 함께 서요는 짧은 전성기를 지나 쇠락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물론 부자는 망해도 3년 간다고 야율대석이 죽자마자 서요가 폭삭 주저앉은 것은 아니다. 그가 사망한 후 호라즘 왕조의 샤(Shah)[5] 일 아르슬란이 서요에 공물을 바치기도 했으니 말이다. 사실 서요의 쇠락은 아율직로고 탓이 크다.[6]
 
 
 
 
 
 
 
 
 
 
 
 
 
 
 
 
 
 
 
 
 
 
 
 

3. 기타[편집]

 
 
 
 
 
 
 
 
 
 
 
 
 
 
 
 
 
 
 
 
 
 
 
 
동방에서 도래하여 무슬림을 친 야율대석의 중흥 행적은 이후 이슬람을 박해한 쿠츨루크몽골 제국 칭기즈 칸의 호라즘 정복과 섞여져 이슬람을 멸하기 위해 동방으로부터 도래하는 신비의 기독교도 사제왕 요한의 전설의 모티브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 당시 이슬람 세력의 맹주는 셀주크 제국이었는데 그 술탄을 격파한 것이 야율대석이었기 때문이다.
 
 
 
 
 
 
 
 
 
 
 
 
 
 
 
 
 
 
 
 
 
 
 
 

4. 둘러보기(계보)[편집]

 
 
 
 
 
 
 
 
 
 
 
 
 
 
 
 
 
 
 
 
 
 
 
 
[ 본기(本紀) ]
1·2권 「태조기(太祖紀)」
3·4권 「태종기(太宗紀)」
5권 「세종기(世宗紀)」
6·7권 「목종기(穆宗紀)」
8·9권 「경종기(景宗紀)」
10·11·12·13·14·15·16·17권 「성종기(成宗紀)」
18·19·20권 「흥종기(興宗紀)」
21·22·23·24·25·26권 「도종기(道宗紀)」
27·28·29·30권 「천조제기(天祚帝紀)」

※ 31권 ~ 62권은 志에 해당. 63권 ~ 70권은 表에 해당. 요사 문서 참고
[ 열전(列傳) ]
71권 「후비전(后妃傳)」
72권 「종실전(宗室傳)」
73권 「야율갈로등전(耶律曷魯等傳)」
74권 「야율적랄등전(耶律敵剌等傳)」
75권 「야율적렬등전(耶律覿烈等傳)」
76권 「야율해리등전(耶律解里等傳)」
77권 「야율옥질등전(耶律屋質等傳)」
78권 「야율이랍갈등전(耶律夷臘葛等傳)」
79권 「실방등전(室昉等傳)」
80권 「장검등전(張儉等傳)」
81권 「야율실로등전(耶律室魯等傳)」
82권 「야율융운등전(耶律隆運等傳)」
83권 「야율휴가등전(耶律休哥等傳)」
84권 「야율사등전(耶律沙等傳)」
85권 「소달름등전(蕭撻凜等傳)」
86권 「야율합주등전(耶律合住等傳)」
87권 「소효목등전(蕭孝穆等傳)」
88권 「소적렬등전(蕭敵烈等傳)」
89권 「야율서성등전(耶律庶成等傳)」
90권 「소아랄등전(蕭阿剌等傳)」
91권 「야율한팔등전(耶律韓八等傳)」
92권 「소탈랄등전(蕭奪剌等傳)」
93권 「소혜등전(蕭惠等傳)」
94권 「야율화가등전(耶律化哥等傳)」
95권 「야율홍고등전(耶律弘古等傳)」
96권 「야율인선등전(耶律仁先等傳)」
97권 「야율알특랄등전(耶律斡特剌等傳)」
98권 「소올납등전(蕭兀納等傳)」
99권 「소암수등전(蕭巖壽等傳)」
100권 「야율당고전(耶律棠古等傳)」
101권 「야율적랄등전(耶律敵剌等傳)」
102권 「소봉선등전(蕭奉先等傳)」
103·104권 「문학전(文學傳)」
105권 「능리전(能吏傳)」
106권 「탁행전(卓行傳)」
107권 「열녀전(列女傳)」
108권 「방기전(方技傳)」
109권 「영관·환관전(伶官宦官傳)」
110·111권 「간신전(奸臣傳)」
112·113·114권 「역신전(逆臣傳)」
115권 「이국외기(二國外記)」

※ 116권은 國語解에 해당. 요사 문서 참고


 
 
 
 
 
 
 
 
 
 
 
 
 
 
 
 
 
 
 
 
 
 
 
 
[1] 무려 ‘우주의 지배자’라는 뜻이다.[2] 그리고 1125년, 천조제가 금나라에 포로로 잡히며 요나라는 멸망하고 만다.[3] 키르기스스탄 북부의 비슈케크와 이식쿨 호 중간에 위치한 도시. 현재 인구는 약 7만명으로, 키르기스스탄 제5의 도시이다. 지명은 키르기스어로 '망치'란 뜻이다.[4] 튀르크어로는 코즈 오르두(Koz Ordu)라고 불렸다. 의미는 '견고한 오르도(군주의 야영장)'[5] 술탄(Sultan)으로도 불린다.[6] 좀 더 정확하게는 자신을 부마(사위)로 삼은 야율직로고의 은혜를 원수로 갚은 쿠츨루크 때문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